티스토리 뷰
목차
택배를 받으면 함께 따라오는 스티로폼 박스, 에어캡(뽁뽁이), 완충용 종이와 비닐들. 모두 포장재이지만 재질과 형태에 따라 분리배출 기준이 달라 헷갈리기 쉽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스티로폼·에어캡·완충재의 재질별 분리배출 기준과 올바른 처리 방법**을 정리합니다.
스티로폼 박스, 재활용 가능할까?
스티로폼(발포폴리스티렌, EPS)은 재질 자체는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음식물·이물질 오염 여부에 따라 분류 기준이 달라집니다.
✔ 깨끗한 상태의 스티로폼 박스 → 재활용 가능 ✔ 생선, 과일 등 오염된 스티로폼 → 일반쓰레기
📌 투명 테이프, 스티커는 제거하고
내용물 없이 깨끗하게 배출하는 것이 핵심
입니다.
에어캡(뽁뽁이)은 비닐류로 분류됩니다
에어캡은 **폴리에틸렌(PE)** 재질로 되어 있어 깨끗한 상태로 배출할 경우 비닐류로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 공기를 빼서 부피를 줄인 후 ✔ 이물질 제거, 테이프 제거 후 **비닐류로 분리배출**
💡 단, 다른 포장재와 혼합되어 있을 경우 반드시 분해 후 배출해야 재활용이 원활합니다.
종이완충재는 종이, 비닐폼은 비닐
포장재로 많이 쓰이는 완충용 종이, 종이컵 받침 등은 깨끗한 상태라면 **일반 종이류로 재활용 가능**합니다.
✔ 다만 기름 오염 또는 코팅된 경우 → 일반쓰레기
비닐폼, 말랑한 충격흡수재는 대부분 PE나 PP 재질로 ✔ 깨끗하게 분리 시 비닐류로 분리배출 가능 ✘ 테이프, 라벨이 섞여 있으면 일반쓰레기로 분류됨
재활용 가능한 포장재 vs 불가능한 예시 정리
재활용 가능 | 재활용 불가 |
---|---|
깨끗한 스티로폼 박스 에어캡(테이프 제거) 종이 완충재 비닐폼 (깨끗할 경우) |
오염된 스티로폼 기름 묻은 완충지 테이프 붙은 에어캡 복합재질 혼합포장 |
📌 “깨끗이 + 분리해서” 버리는 것이 핵심입니다.
맺음말: 포장 쓰레기도 알고 버리면 자원이 됩니다
택배 쓰레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포장재, 단순히 분리수거함에 넣는다고 모두 재활용되는 건 아닙니다.
✔ 재질 확인 ✔ 오염 여부 확인 ✔ 테이프 제거 후 분리배출
이 3단계만 기억하면 대부분의 포장재는 올바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버리기 전 한 번 더 살펴보는 습관으로, 깨끗한 재활용 문화를 함께 만들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