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생활 속에서 가구, 화분 받침, 도마, 나뭇가지 등 다양한 형태의 ‘나무’ 제품이 폐기될 때, 과연 이것들이 ‘일반 쓰레기’인지, ‘재활용품’인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나무 분리수거가 가능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그리고 정확하게 버리는 방법까지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나무는 재활용이 될까? 원칙부터 살펴보자

    일반적으로 **가공되지 않은 생나무는 재활용이 어려우며, 가공된 목재 제품도 대부분 일반 쓰레기로 분류**됩니다.

    이는 나무가 재활용 공정에서 **분쇄나 세척이 어렵고, 코팅·도장·접착제 등으로 오염된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즉, 우리가 흔히 쓰는 가구류나 소형 목재 제품은 대부분 ‘재활용’ 대상이 아닌 생활폐기물로 처리되어야 합니다.

     

    나무 제품 분리수거 기준 예시

    재활용 불가 (일반쓰레기/대형폐기물)
    - 버리는 책상, 의자, 식탁, 나무서랍 등 가구 형태의 나무 제품
    - MDF, 합판 등 접착·코팅된 목재류
    - 도마, 나무 젓가락, 나무 숟가락 등 소형 목재 생활용품

    재활용 가능 (지자체 규정에 따름)
    - 단순 나뭇가지, 생나무 (정원 가지치기 등): 일부 지자체는 분쇄 후 퇴비화
    - 수거일 지정 또는 종량제 봉투 배출

    💡 대부분의 경우, **나무류는 재활용 분리수거가 아닌 일반쓰레기 처리**가 원칙입니다.

     

    나무류 폐기물, 정확하게 어떻게 버릴까?

    작은 목재 (도마, 젓가락 등) → 종량제 봉투에 일반쓰레기로 배출

    중간 크기의 목재 (조립형 가구 일부 등) → 잘라서 종량제 봉투에 넣거나, **폐기물 스티커 부착 후 지정 장소 배출**

    큰 가구 형태의 나무 제품 → 지자체

    대형폐기물 신고 시스템

    이용 후 스티커 부착
    → 예: 서울시 폐기물 배출 앱 ‘청소연구소’, ‘클린하우스’ 등

    조경용 생나무, 가지 → 지자체 조경 폐기물 지정일 확인 후 묶어서 배출
    → 일부 지역은 수거 불가. 전문 업체 위탁 처리 필요

     

    주의할 점: 재활용 통에 절대 넣지 말아야 할 나무류

    재활용 분리수거함에 넣으면 안 되는 나무류 대표 예시:

    • - 나무 옷걸이
    • - 나무로 된 시계, 액자
    • - 코팅된 나무도마
    • - MDF 책장, 서랍장

    이러한 품목은 **재활용 선별장에서 분류되지 않고, 오히려 전체 폐기물 처리에 악영향**을 줍니다.

    정확하게는,

    ‘나무’라는 재질보다 가공·도장의 유무가 핵심 판단 기준

    이 됩니다.

     

    맺음말: 나무는 재질이 아닌 ‘형태와 가공 여부’로 판단하자

    우리가 흔히 “나무는 자연재료니까 재활용 되겠지”라고 생각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코팅, 접착, 도장 등으로 가공된 목재는 재활용이 불가능

    하고, 심지어 환경 부담도 크기 때문에 더욱 신중한 분리배출이 요구됩니다.

    나무를 버릴 땐 “작은가? 큰가? 코팅되었나?”를 기준으로 생각하고, 종량제 + 대형폐기물 + 지자체 규정을 함께 고려해 배출하는 것이 올바른 환경 시민의 첫걸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