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은 외부 침입자(세균, 바이러스 등)를 감지하고 방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이 면역 시스템이 자기 몸의 조직을 이물질로 오인해 공격하는 경우, 우리는 이를 ‘자가면역 질환(Autoimmune Disease)’이라 부릅니다.
자가면역 질환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정확한 발병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유전: 가족 중 자가면역 질환이 있는 경우 발병 확률 증가
- 환경: 바이러스 감염, 약물, 스트레스, 호르몬 변화 등이 면역 시스템 교란
- 호르몬: 여성의 발병률이 남성보다 높은 이유 중 하나로 추정
대표적인 자가면역 질환은?
질환명 | 공격 부위 | 주요 증상 |
---|---|---|
루푸스(SLE) | 전신 조직 | 피로, 발진, 관절통, 신장염 |
류마티스 관절염 | 관절 | 관절통, 뻣뻣함, 변형 |
그레이브스병 | 갑상선 | 심계항진, 체중감소, 불안 |
하시모토 갑상선염 | 갑상선 | 무기력, 체중 증가, 추위 민감 |
1형 당뇨병 | 췌장의 베타세포 | 다뇨, 다갈, 피로, 체중 감소 |
강직성 척추염 | 척추 | 허리통증, 뻣뻣함, 운동 장애 |
자가면역 질환의 일반적인 증상
- 만성 피로감
- 잦은 염증 또는 열
- 근육통, 관절통
- 피부 발진 또는 탈모
- 소화 장애
- 체중 변화, 우울감 등 비특이적 전신 증상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자가면역 질환은 현재 완치보다는 장기적인 관리와 증상 조절이 중요한 질환입니다.
- 면역억제제: 과도한 면역 반응을 억제
- 항염증제 및 진통제: 염증 및 통증 완화
- 호르몬제: 예: 갑상선 질환에서 호르몬 대체 요법
- 생활관리: 스트레스 관리, 수면, 균형 잡힌 식단 등 자가 관리 병행
Tip! 자가면역 질환은 증상이 비특이적이라 자가 진단이 어렵습니다. 만성적인 피로, 발열, 체중 변화 등이 반복된다면 내과 또는 류마티스내과 진료를 권장합니다.
자가면역 질환은 우리 몸이 스스로를 공격하는 복잡한 질환이지만, 조기 발견과 꾸준한 치료를 통해 충분히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올바른 이해가 가장 중요한 첫걸음입니다.